구체적인 상황과 개인 학습 정도에 따라서 솔루션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학생분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상담이 필요하다면 센터 국어 교과 선생님 상담이나, 멘토링을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인 고전 시가 학습법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고전시가를 어렵다고 느끼는 요인에 대해서 먼저 짚어보겠습니다.
대다수의 학생분들이 고전시가에서 어려움을 겪는 요인은 1. 낯선 용어 2. 당시 문화에 대한 낯설음 3. 고전시가 문항에 대한 낯설음 정도입니다. 모두 낯설음이 공통점으로 들어가 있군요. 이 낯설음을 없애기 위해선 경험을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일단, 고전시가를 해석하는 연습부터 해보셔야 합니다. 여기서 해석하는 연습은 2가지 효과가 있는데, 자연스럽게 모르는 단어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고, 시가를 직접 고민해보고 해석을 하며 문화를 자연스럽게 익힌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혹자는 관동별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해석해보는 연습을 해보라고 하기도 합니다. 해석을 하실 때엔 사전처럼 고전 시가 단어집을 옆에 두고 최대한 혼자서 해석을 하고 해석이 막히면, 오늘날 우리말로 최대한 바꿔서 이해를 해본뒤 정석적인 해설을 보면서 비교 대조하는 형식으로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렇게 수특/수완에 있는 작품을 모두 해석해보는 시간을 가지면 고전시가에 대한 낯설음이 많이 해결될 것입니다.
여기서 '효율적'이나 '적은 시간을 들이고'라는 선택지는 없다 생각하시고 공부 시간 확보를 더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전 문학을 정복하지 않고서는 국어 고득점은 힘들기 때문에 오히려 학습 초반 체력이 충분할 때 보충 시간이라도 하셔서 해석 연습 및 문제 풀어보는 경험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국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문학사 흐름 한눈에 보기(운문편) (0) | 2023.03.10 |
---|---|
고전문학사 흐름 한눈에 보기(산문편) (0) | 2023.03.10 |
기출 독서와 문학을 풀고있어요! 근데 오답분석을 어떻게 해야할지 너무 막막해요 (1) | 2023.03.09 |
국어 독서지문을 읽을때 요점을 잘 파악하지 못합니다. (0) | 2023.03.09 |
언어와매체 공부 방법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