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이야기

기출 독서와 문학을 풀고있어요! 근데 오답분석을 어떻게 해야할지 너무 막막해요

pitagy 2023. 3. 9. 21:46
728x90
반응형

국어 학습은 타 과목에 비하여 정형화되어 있지 않기에 구체적인 학습법에 대한 문의가 가장 많습니다. 질문자 분의 상황에 적절한 구체적인 상담을 원하시면 센터 국어 선생님께 요청하거나, 멘토링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저에게 상담을 받고 싶으시면 센터장님께 잇올 본사 강지훈 과장 연결해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일단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어 보편적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국어 학습의 핵심은 기출 분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출 분석을 말 그대로 '지문의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를 풀고 틀린 이유를 보는 것' 정도만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학습은 그다지 큰 효용가치가 없습니다. 기출 분석을 통해서 얻어야 하는 것은 '기존 기출 문제들이 어떤 사고를 요구하는가'입니다. 예를 들면 22 수능의 브레턴 우즈 체제의 보기 문항은 비례/반비례 관계에 대한 파악과 그 관계를 가지고 지문에 적용해야 하는 문제였습니다. 이런 식으로 지문의 내용과 재제에 대한 학습이 아닌, 수능에서 국어 지문을 통해 어떤 사고를 하여 문제를 풀어 내는 능력 그자체를 훈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틀린 문항에 대한 접근도 '왜 이 문제의 답은 이것인가'의 접근 보다는 '내가 이 답을 도출하기 위해서 지문 어디 부분을 어떻게 생각하며 읽었어야 했는가'에 대한 사고의 과정 및 태도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문제를 푸는 것보다도 내가 지문을 보며 생각하는 모든 것, 태도, 관점을 적고 이를 강사와 대조해가며 올바르게 하고 있는 가 그 과정을 비교 대조해보는 학습을 해야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