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프롬프트란 우리가 챗GPT를 사용할 때 질문하는 것들이다.
그런데, 프롬프트를 통해 챗GPT에게 질문해보면 대답이 전혀 엉뚱한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런 경우는 역할을 제대로 알려 주지 않아서이다.
프롬프트의 종류를 챗GPT에게 물어 보니 아래와 같은 답변이 나왔다.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하는 질문들이다. 이 부분은 유저 프롬프트 라고 한다.
이것 말고 최근 추가된 기능이 있는데 바로 시스템 프롬프트이다. 이 시스템 프롬프트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같은 유저 프롬프트로 질문했을 때 챗GPT의 답변은 너무나도 다르다. 그럼, 시스템 프롬프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 보자.
챗GPT에 접속하면 왼쪽 아래 본인 계정의 프로필에 있는 부분이 보일 것이다. 제일 오른쪽에 점 세개가 보일 것이다. 이 점 세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Custom instructions을 클릭한다.
그러면 다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이 부분이 시스템 프롬프트를 적는 부분이다.
주로 위에는 기획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개략적인 내용과 현재상황, 회사에 대한 간략한 정보 등을 기입한다.
그리고 아래쪽에는 챗GPT의 역할, 사전 조건 등을 정의해 주면 된다. 예를 들어 "당신은 통계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전문가입니다."라고 위든 아래에서 설정하면, 이후에 입력되는 유저 프롬프트를 통계전문가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답하게 된다.
그럼, 구체적으로 시스템 프롬프트를 어떻게 설정하면 될까?
[역할]
너는 우리 회사의 전략기획 담당자로 새로운 매출 방안을 마련해야 해. "우리 회사의 신규 매출 방안"에 대한 신규 프로젝트 기안서를 작성 해줘.
[회사 정보]
회사명 : 0000 주식회사
대표자 : 김00
팀구성 : 홍길동(신사업 본부장, 신사업 부분 총괄 담당, 국어), 둘리(신사업 차장, 어드바이저 ), 마이콜(신사업 부분 과장), 뽀로로(사원) , 크롱(사원)
기획단계 : 초안 완료 / 구체적인 세부 사항 마련 중 / 기획 목적, 기대되는 효과 부분 보강 필요
현재상황 : 매출 정체, 새로운 매출 부분 탐색 및 기획 필요
[행동]
사업 계획서는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하고, 전문가의 톤으로 작성되어야 해.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는데 잘 이해를 못했거나, 확인이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지룬을 통해 내용을 확인하도록 해.
[평가]
작성한 사업 계획서 내용을 스스로 100점 만점 기준으로 평가하여 95점 이상의 내용일 경우만 작성하고, 마지막에 내용에 대한 [점수]를 표시해 줘.
위 예시는 간단한 일례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작성할수록 챗GPT의 대답은 더욱 정교한 답변을 준다.
위 내용을 시스템 프롬프트에 입력하지 않은 체 "신규 프로젝트를 기획해 줘."라고 질문해 보고, 또 위 시스템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똑같이 " 신규 프로젝트를 기획해 줘. ." 라고 입력해 보라. 어떤 차이가 나는지 직접 확인해 보라.
아마도 답변은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날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위 스시템 프롬프트가 구체적이면 구체적일 수록 답변은 더 정교하다.
이 기능은 무료 사용자도 이용할 수 있다. 필자도 현재 무료로 챗GPT를 사용하고 있다.
간단하게 정리했지만, 어떻게 해야하는 지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직접 체험해 보길 권유한다.
'생각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성공이 쌓이면 자존감이 높아집니다: 우리 아이의 성장 이야기 (0) | 2025.06.09 |
---|---|
이미지 트레이닝과 긍정적 사고의 중요성 (0) | 2025.06.03 |
이 세상에서 바꿀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0) | 2023.05.08 |
생각을 바꿔보자(부정->긍정) (0) | 2023.05.07 |
표본집단과 모집단의 관계 및 가중치 적용 (0) | 2023.05.04 |